그동안 워드프레스를 하면서 여러번 사이트를 삭제하고 다시 하고 반복하면서 사이트를 완성했다. 아직도 조금 더 다듬어야 했지만 그건 하면서 고치면 될듯 싶다. 사실 네이버 블로그와 티스토리 블로그를 하면서 워드프레스는 내가 할 수 없는 분야라고 생각했지만 몇날 몇일을 붙잡고 씨름을 하다보니 어느정도 개념적인 부분과 알고리즘을 이해 하면서 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실 네이버와 티스토리는 구조적으로 단순한 부분이지만 워드프레스는 누군가가 알려주지 않으면 할 수 없는 부분들이 많다. 편안하게 글만 작성하면 될 줄 알았지만 하나부터 시작해서 끝까지 내가 전부 직접 하면서 해야 된다는 걸 깨닫고 UI를 이해하기 시작했다.
지금은 편안하게 글을 작성 할 수가 있고, 이미지와 동영상등 각종 자료를 업로드 및 웹호스팅 관련해서도 이해하고 하다보니 실제적으로 제대로 한 것은 일주일정도 소요가 되었다.
그렇다면 내가 어떻게 2주만에 승인이 되었는지 작성해봐야겠다.
먼저 어떤 글을 작성 할때 유사문서에 빠지지 않게 작성을 해야하기 때문에 문장을 작성을 할때마다 고민을 해야된다. 내가 아무리 작성한 글이라도 유사문서에 빠지기 쉽기 때문이다.
먼저 내가 작성한 주제를 한글로 먼저 작성한다. 이미지 없이 작성해서 구글 환경에 맞게 해줘야 한다. 이미지가 너무 무겁거나 많으면 페이지가 나오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최대한 텍스트로 설명할 수 있게 내가 작성을 해야된다. 그렇게 텍스트를 작성하고 다음에 무엇을 해야되냐면?
작성된 글을 영문으로 번역해서 페이지를 나눠주둔지 아니면 번역이 된 페이지에 넣어 작성하면 된다. 한글로 된 문장을 영문으로 번역하는 건 빠르게 할 수가 있어서 글 하나 작성하는데 1시간이 넘어가질 않는다. 그리고 이미지가 필요하다면 용량을 작게하여 업로드를 해야된다.
이미지 사용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부분은 다른 글에서 다뤄질 예정이다. 이렇게 영문과 한글을 작성하여 업로드하면은 된다. 이렇게 일주일간 작성하고 색인이라든지 사이트등록 해놓고 꾸준하게 하루에 2개에서 3개정도 글을 작성해놓았다.
영문으로 작성 하라고 하는 이유는 외국유저들을 끌어들이기 위해서이다. 똑같은 환경에서 외국유저들이 들어와서 트래픽을 발생 시켜주면 되기 때문에 한페이지다 작성을 해둔다. 체류시간도 중요하다보니 그런 부분을 해놓을 필요가 있다. 이미지만 많다고 하여 좋은 건 아니기 때문이다. 왜 이미지를 넣지 않았던 것은 외국사용자들은 인터넷이 정량제이기 때문에 느리게 뜨는 페이지는 사용하지 않고 바로 닫아버린다. 그리고 용량이 많을 수록 트래픽 발생이 많아지기 때문에 구글 환경에서는 선호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네이버에서는 이제 막 제작된 사이트는 노출이 잘 안되기 때문에 구글밖에 없다는 것이다. 구글 환경을 이해를 한다면 애드센스 2주만에 승인 되는 것은 쉽기 때문이다.
Here is the English translation of your narrative:
“While working on WordPress, I completed the site after repeatedly deleting and recreating it multiple times. Although it still needed some polishing, I figured I could fix that while working on it. Honestly, after working with Naver Blog and Tistory, I thought WordPress was beyond my capabilities. However, after spending several days grappling with it, I began to understand the conceptual aspects and algorithms, and I realized I could do it.
Actually, Naver and Tistory are structurally simple, but WordPress has many aspects that you can’t figure out without someone showing you. I thought I could just comfortably write posts, but I realized I had to do everything myself from start to finish, and I started to understand the UI.
Now I can comfortably write posts, and after understanding how to upload various materials like images and videos, as well as web hosting, it actually took about a week of proper work.
So, I should write about how I got approved in just two weeks.
First, when writing any post, you need to be careful not to fall into duplicate content, so you have to think every time you write a sentence. Even if it’s a post I wrote, it’s easy to get caught as duplicate content.
First, I write the topic I want to cover in Korean. I write it without images to suit the Google environment. If the images are too heavy or too many, it takes time for the page to load, so I try my best to explain with text. After writing the text, what should I do next?
I translate the written text into English and either divide it into separate pages or include it on the translated page. Translating Korean sentences into English is quick, so writing one post doesn’t take more than an hour. And if images are needed, I upload them after reducing their size.
There are various ways to use images, but that will be covered in another post. This is how you write and upload in both English and Korean. I wrote like this for a week and, after indexing and registering the site, consistently wrote about two to three posts a day.
The reason for writing in English is to attract foreign users. If foreign users come to the same environment and generate traffic, that’s good, so I include it on one page. Time spent on the page is also important, so it’s necessary to take care of that aspect. Just having many images isn’t necessarily good. The reason I didn’t include many images is that foreign users often have metered internet plans, so they don’t use pages that load slowly and close them immediately. Also, the larger the file size, the more traffic it generates, which Google doesn’t prefer.
Naver doesn’t show new sites very well, so Google is the only option. If you understand the Google environment, getting AdSense approved in two weeks is easy.”
safarizone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